2021년 12월에 FNGU가 추종하는 NYSE FANG+ Index (인덱스 링크)가 종목을 새로 선정하는 발표를 했습니다. 5일전에 난 발표이지만 관련 뉴스 링크를 보면 드디어 Twitter가 빠지고 그 자리를 Microsoft가 대신한다고 합니다. 정말 제대로된 변화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바로 2021년 12월 20일부터 적용되겠습니다.
그래서 FNGU를 구성하는 10개 종목은 이제 Facebook (Meta Platforms), Apple, Amazon, Netflix, Google (Alphabet) Alibaba, Baidu, NVIDIA, Tesla, Microsoft 가 되겠습니다. 정말 제대로된 우량주 집합체인 듯 합니다. 참고로 FNGU의 1배짜리로 FNGS도 있으니 참조바랍니다.
==========================
BMO (캐나다에서 가장 큰 은행)에서 만든 굉장히 괜찮은 ETN으로 BULZ (불즈)가 있지만 BULZ전에 있던 ETN이 FNGU (핑구)가 있었습니다. 이 ETN의 경우 종목 구성은 현재 FB, AAPL, AMZN, NFLX, GOOGL, BABA, BIDU, NVDA, TSLA 그리고 TWTR 총 1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동일 비중으로 10%씩 담겨 있습니다. 사실 이 종목들은 대부분 아주 우량한 기업들이긴 하나, 2개의 중국 기업과 Twitter는 다른 기업들에 비해 이름값을 못한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그래서 FNGU보다는 장기로 가져가기에는 BULZ가 낫다는 생각이지만 2개의 ETN이 살짝 다름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약간의 헷징은 있을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면 중국 규제로 인해서 많이 하락한 BABA와 BIDU로 인해서 오히려 어느 시점에서는 저점 매수를 할 수 있는 등의 방법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참조링크)
기본적으로 이 핑구가 따르는 인덱스가 있는데 바로 NYSE FANG+ Index 입니다. (참조링크) 2017년 9월 26일날 실제로 이 티커가 리스팅이 되었으나 백테스팅을 해서 2014년 9월부터 2021년 9월까지로 봤을 때 거의 700% 수익률이고 연평균 수익률로 봤을 때도 년 100% 정도의 고수익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는 그래프를 아래와 같이 보여줍니다. 단 과거의 수익이 미래를 보장하지 않으며 장투 시에 상당한 변동성이 있다는 것은 유념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지난 1년간의 주가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보시다시피, 200일선 (빨간 선)을 닿거나 RSI기준으로 과매도 구간 즉 30 이하일 경우 그 근처에 오고 나면 여지없이 반등을 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RSI가 과매수 구간 즉 대략 70 이상이 되면 또한 하락 추세를 보이는 전형적인 기술적 차트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트레이딩 관점에서도 저점에 분할 매수 후에 고점에서 매도를 하는 단타도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라 생각됩니다. 또한 채널 상단과 하단을 기준으로 꾸준히 우상향 하는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장기투자로서도 어느 정도 적합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물론 변동성이 아주 크다는 것을 감안하고 장투를 해야겠습니다.
저의 현재 포지션을 살펴보면, Taxable에서 40주를 보유하고 있고 평단은 28.75불이며 현재 44.35%의 수익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5월에 저점 매수를 많이 하였고 이번 며칠 전 조정장에서 또 몇 주를 추가 줍줍 해 보았습니다.
T IRA는 Taxable보다는 평단이 약간 높지만 100주를 평단 32.92로 장투를 해보고 있습니다.
Roth IRA에서도 평단 33.95불로 40주 정도 보유 중이고 이 계좌는 주로 단타위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끝으로 절대 추천 매수매도는 아닌 점 참조바랍니다. 미국 주식의 우상향을 믿고 특히 대형 기술주의 우상향에 대한 확고한 믿음 (Conviction)이 있다면 불즈나 핑구로 시장의 초과수익 알파를 노려보는 전략도 어떠할까 생각해보면서 글을 마치겠습니다.
'미국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x 레버리지 상품의 등장~! (0) | 2021.12.17 |
---|---|
몇 개의 종목이 가장 적당할까? (2) | 2021.12.13 |
Bear Market Indicators (조정장 지표) 살펴보기 (0) | 2021.12.08 |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약간의 배당을 주는 주식 찾기 (0) | 2021.12.08 |
나스닥100 인덱스 추종 Mutual Funds 알아보기 (0) | 2021.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