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Investing (미국 재테크)

(50)
체이스 사파이어 프리퍼드 카드 십만 오퍼 및 카드 상세 소개 좀 늦은감 없지 않아 있지만 그래도 정리차원에서 글을 작성해 봅니다. 현재 이 카드 즉 체이스 사파이어 프리퍼드 (줄여서 샤프) 카드가 역대급 오퍼인 십만 포인트 (Chase Ultimate Rewards 줄여서 UR)를 줍니다. 3개월에 5천불을 쓰셔야하고요. 네 일단 3개월안에 5천불을 쓰지 못하겠다면 오픈하지 않는게 맞습니다. 그렇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이 5천불 스펜딩을 채울 수 있습니다. 단 연회비는 95불이 되겠습니다. 이 카드는 마일게임 세계에서는 거의 가장 기본적으로 갖고 가는 카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좀 더 자세히 살펴볼께요.1. 카드 혜택먼저 카드혜택부터 알아볼까요? 먼저 매년 50불의 트레블 크레딧이 있습니다. 물론 체이스 트레블에서 샤프카드로 현금결제를 하시면 거의 실시간으로 5..
2025년 6월 샌프란-인천 대한항공 마일 발권 후기 저는 6년만에 한국 방문이고 저희 가족은 9년만에 고국 방문입니다. 샌프란 출발해서 인천에 도착하는 비행편을 어떻게든 비즈니스좌석을 생애최초로 발권해보려고 노력했습니다. 결국 비즈 좌석 2 + 이콘 좌석 2개 전부 마일발권을 하긴 했습니다.. ㅎㅎ 물론 마성비는 이번에 글을 쓰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모든 마일발권은 거의 330일전에 진행하였습니다.1. 샌프란 출발 비행편일단 출발은 6/9/2025인데. 이 날은 미국출발 성수기라 파트너사에 마일좌석을 아예 풀지 않습니다. 따라서 예약은 그동안 모아 놓았던 대한항공 마일로 탈탈 털어서 비즈니스좌석 하나와 이코노미 좌석하나를 마일발권을 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비지니스좌석 하나와 이콘 좌석하나는 체이스 트레블에서 사파이어 리저브카드의 1.5cpp를 이..
마일이 이끄는 여행 - ANA 일등석 발권 후기 정말 오랜만에 블로그 글을 씁니다. 바쁘다는 핑계도 있었습니다..  뭔 글이든 써야되는데 하면서 생각한 것은 마일이 이끄는 여행에 관해서 이제부터는 좀 써볼까 합니다. 마일과 재테크과 무슨 관련이 있느냐라 반문하시겠지만, 사실 여행을 가게되면 아주 거금이 듭니다. 거금을 아껴서 여행을 다니면서 아낀 거금을 투자에 활용한다면 마일을 활용한 여행이 결국은 재테크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저는 큰 여행의 지출인 비행기와 호텔 예약은 주로 마일과 같은 포인트로 해결하고 다른 체제비용은 새로 만들 카드를 사용해서 또 보너스를 받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ANA 일등석은 정말 마성비 (마일 가성비의 줄임말)가 끝내주는 발권이었습니다! ㅎㅎㅎ1. 마성비 계산All Nippon Airwa..
레이 달리오의 변화하는 세계질서 이번 달부터 제가 읽고 있는 책입니다. 레이 달리오가 작성한 The changing world order라는 책인데요.. 얼마전 김단테 유투브 채널에서 이 책과 관련해서 간략한 영상이 있어서 같이 공유드립니다. 물론 원본 동영상도 레이달리오가 만든 영상을 김단테가 번역작업을 했는데 시사하는 바가 큰 것 같습니다. 패권국가가 현재는 미국이지만 현재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점점 잃어가고 있고 있고 러시아, 인도와 중동 국가들이 위안화로 석유가 가스의 대금을 받는 등.. 세상이 많이 변화하고 있는 듯 합니다. 달리오도 현재 중국의 포지션이 상당하다고 알고 있는데.. 뭐 그렇다고 중국주식을 사라는 것은 아니고요.. 세상이 변화하고 있고 그것을 미리 눈치채고 투자에도 적용할 필요는 있지 않을까 싶어서요.. 다들 성..
S&P500와 나스닥 주가 차트 vs. regression channel 공학과 통계를 하는 사람으로서 항상 궁금한 것이 주가 차트가 regression (회귀 혹은 평균기울기) 채널안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좀 궁금했습니다. 역사는 반복되는 것처럼 주가도 긴 시계열로 본다면 그 채널 안에서 움직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살펴보았습니다. 1. S&P500 지수 (SPX) 먼저 최근 15년간의 주가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15년을 살펴본 이유는 2008년 금융위기이후로 부터 약간의 대세상승장이 있어 왔었기 때문입니다. 중간에 있는 채널라인이 바로 이 regression 채널이고 파란 음영은 +1 standard deviation (sigma), 빨간색 음영은 -1 sigma 영역입니다. 이 채널을 아래로 벗어난 구간은 2016년대 한번, 2019년대 초반에 한번, 그리고 ..
Baillie Gifford 2021년 4분기 포트 변경 정리 Baillie Gifford라는 성장주 투자로 유명한 투자자가 운영하는 펀드가 2021년 4분기 13F가 공시되어서 메모 차원에서 글을 쓰려고 합니다. 일단 2021년 12월 31일 기준의 포트폴리오라서 지금은 또 달라졌을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겠습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어떤 기업을 매도하고 있고 어떤 기업을 새롭게 신규 진입했는지를 알아보고 그것을 참조해서 우리의 포트의 편입도 고려해보자는 취지입니다. 지난 3분기 포트 변화는 이전에 작성한 글 (링크)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탑 매수 및 매도 종목 일단 탑 매수종목으로 TTD, ANTM, MLM, SCHW, CPNG이 보입니다. TTD와 CPNG은 최근 성장주 하락과 IPO 후 상당한 하락을 겪은 종목이라 저가 매수라고 볼 수도 있을 것..
은퇴자금 프런트로딩 VS. 분할매수 (401k Front loading vs. DCA) 보통 401k의 경우 DCA (Dollar Cost Average)의 형태로 매달 매주 격주 월급이 나올 때 자동으로 인덱스펀드와 같은 펀드들에 자동 매수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장기적으로 몇십 년 투자하면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겠지만 오늘은 이 프런트 로딩과 DCA의 방법을 한 번 비교해볼까 합니다. 프런트 로딩 (Front Loading)이라는 것은 401k에 불입을 매해 초에 많이 불입해서 맥스를 일찌감치 채우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은 전체 소득의 몇 %를 불입한다는 형태로 불입금액을 정하게 되는데 여기 %를 초기에 과하게 집어넣어서 불입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 차트는 지난 십년간의 S&P500 (SPX) 차트를 달별로 그린 다음에 간단하게 Linear Fit을 해본 ..
MDD (고점대비 하락률) 차트 소개 (feat. tradingview.com) 이전부터 MDD (Maximum Drow Down, 고점 대비 하락률) 차트를 그리고 싶었는데 Finviz나 일반 주식계좌에서는 이 것을 그릴 편한 방법이 없었는데 오늘 tradingview.com에서 이 그래프를 제공해주는 것을 발견하고 너무 기뻐서 기록에 남기려고 합니다. 먼저 tradingview.com으로 갑니다. 그리고 아래 그림과 같이 상단에 있는 Chart를 클릭합니다. 그다음에 할 일은 상단 왼쪽에 있는 곳을 클릭해서 원하는 주식이나 지수의 Symbol을 찾는 겁니다. 예를 위해서 S&P500 index, SPX 심볼을 검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제 거기서 원하는 지표 (Indicators)를 찾아서 추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ndicators에 들어가서 Maximum Drow를 타이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