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 투자

3x 레버리지 ETN BULZ (불즈) 소개 및 정리

*절대 추천 매수 매도는 아니고 본 내용은 참고로만 활용하길*

시장을 이기는 초과 수익 알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것이 있겠지만 또 다른 한 가지 방법은 레버리지 ETP (Exchange Traded Products)를 저점에 잘 매수하여 알파의 수익을 얻는 방법이다. 3X 레버리지는 보통 TQQQ (나스닥 100 추종), UPRO (S&P500 추종)이 시장 추종으로 3배짜리가 있고 기술주에 특화되어 있는 SOXL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추종), FNGU (ETN으로 빅 테크와 중국 주식 2개 포함)등이 있다. FNGU는 BMO라는 캐나다 1위 은행에서 만든 ETN (Exchange Traded Note - 채권과 유사한 만기가 있는 펀드)인데, 종목 구성이 상당히 우수하나 Twitter, Baidu, Alibaba의 3 기업이 올해 수익을 많이 갉아먹고 있던 차에 BULZ라는 새로운 ETN을 BMO에서 출시하였다. 오늘은 이 BULZ의 자세한 내용과 종목 구성, 그리고 리밸런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 메모하려고 한다.

BULZ ETN은 SOLACTIVE FANG INNOVATION INDEX (“SOLFANGT”) 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이 인덱스가 어떻게 구성되며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참조 링크). 이 인덱스는 Solactive 웹사이트에서 주기적으로 업뎃이 되고 있긴 한다.

1. BULZ 종목 선정 방식

이 인덱스의 총 15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단 8개 종목은 고정이다. Apple (AAPL), Amazon (AMZN), Meta Platforms (FB), Alphabet (google), Microsoft (MSFT), Netflix (NFLX), NVIDIA (NVDA), Tesla (TSLA)는 고정 종목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나머지 7개 종목은 미국 시장에서 가장 많이 매매되고 있는 종목 중에서 탑 7위를 선정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그 종목들은 반도체, 소프트웨어, 인터넷 등의 테크 기업으로 분류된 섹터 쪽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선정을 한다.

가장 먼저 시총순위로 총 30개 기업을 선정한 후에, 최근 12개월 동안 매일 평균적으로 가장 많이 매매되고 있는 기업 순위로 정렬하여 탑 7개 기업을 선정하는 형태로 종목을 정하여진다. 그렇게 해서 9월 20일 선정된 7개 종목은 AMD, CRM, INTC, MU, PYPL, SQ, ZM이다. 반도체 관련 종목이 3개, 핀테크가 2개, SAAS기업 1, 그리고 언택트 기업 1로 종목 구성도 상당히 분산되어 있고 나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 기업 중에 INTC, MU, PYPL, SQ, ZM은 주가 추이가 그렇게 썩 좋지는 않지만 여전히 훌륭한 기업임에는 틀림없을 것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동일 비중 가중치를 적용하여 이 15개 기업 동일하게 6.67%의 비중으로 구성이 되게 되어 있다. 물론 주식 가격 변동으로 인해서 비중은 목표대비 증가도 하고 감소도 할 것이다.

BULZ의 종목 구성 및 비중

2. 리밸런싱은 언제과 종목 선정은 언제 이루어지나?

리밸런싱 그러니까 비중을 다시 6.67%로 돌려놓는 작업은 매달 세 번째 금요일 이루어진다. 만약에 그날이 일하는 날이 아니면, 그다음 일하는 날에 리밸런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목 선정 분기마다 한 번씩 이루어지며 3, 6 , 9, 12월 첫 번째 날에 이루어진다. 현재 종목은 구성은 따라서 9월에 이루어진 것이므로 곧 12월에 종목 선정이 새롭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것 또한 지켜봐야 하고 업데이트를 해야 할 듯.

3. 배당은 어떻게

배당은 인덱스에 자동 재투자되게 설정되어 있다.

4. 차트 비교

일단 나스닥, 에센 피랑 BULZ, SOXL, FNGU를 BULZ가 출시된 이후부터 비교한 차트를 보자 만약 상장 첫날 투자를 했으면 현재 31%에 육박하는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물론 중간에 훨씬 더 많은 변동성이 있고 최근에도 많이 하락을 하였으니 이런 변동성을 견딜 수 있는 사람에게만 적합한 투자처 이리라.

BULZ와 다른 3X레버리지 차트 비교
BULZ 기술적 차트

5. 현재 포지션

Taxable과 IRA에 고루고루 이 불즈를 좀 더 공격적으로 담아보려고 노력했다. 특히 지난 9월에서 10월 약간의 하락장일 때 집중 매수를 한 것이 주효한 듯하다. 로빈후드에서의 평단가는 24.99불이고, Trad IRA에서는 25.99불, Roth IRA는 25.41불로서 여전히 거의 한 달 반 만에 꽤나 큰 수익을 가져다주었다. 이제는 익절 타이밍을 노리거나 아니면 장기로 보유할지를 결정해야 할 시간일 듯.

로빈후드 현재 포지션
Trad IRA 포지션
Roth IRA 포지션

6. 맺음말

역시 세상은 넓고 투자해서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3x레버리지라고 지레 겁먹지 말고 빅 테크 기업에 기반을 둔 이런 레버리지 투자상품도 좀 잘 알아보고 투자를 해보자. 미국 주식의 우상향을 믿는다면 그렇다면 좀 더 선택과 집중이 된 기업에 거기다 레버리지까지 얹은 에지 있는 투자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가상화폐의 출렁임보다는 꽤나 안정되게 (?) 느껴질 때도 있을 것이다. 다음 번에는 FNGU에 대해서도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 한다.

Announcement direct link: https://www.solactive.com/indices/?index=DE000SL0DFZ4#announcements